본문 바로가기
맞춤법

사이시옷 사용법과 자주 틀리는 단어들

by 누리엠씨 2025. 5. 11.
반응형

맞춤법 중 하나, 바로 사이시옷(ㅅ) 사용법을 쉽게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세숫대야’가 맞을까, ‘세수대야’가 맞을까?
‘대중가요’는 괜찮은데, 왜 ‘찻집’은 맞춤법 검사기에서 걸릴까?

이런 의문을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 사이시옷이란?

두 개의 명사가 합쳐져서 복합어가 될 때, 그 사이에 들어가는 ‘ㅅ’ 받침을 뜻합니다.
사이시옷은 모든 단어에 들어가는 것이 아니며, 규칙에 따라 들어갑니다.


✅ 사이시옷이 들어가는 대표적인 단어

올바른 표기틀린 표기비고
세숫대야 세수대야 사이시옷 O
찻집 차집 사이시옷 O
잇몸 이몸 사이시옷 O
나뭇가지 나무가지 사이시옷 O
전셋집 전세집 사이시옷 O
숫자 수자 사이시옷 O
 

❗ 사이시옷 사용 3대 기준

  1. 첫 번째 단어가 우리말 명사일 것
  2. 두 번째 단어가 우리말 명사일 것
  3. 두 명사가 합쳐져 하나의 단어처럼 쓰일 때

✅ 사이시옷이 들어가지 않는 경우

틀린 표기올바른 표기이유
고깃집 고기집 고깃집(O), 고기집(X) — ‘ㅅ’은 있어야 맞음
노랫말 노래말 노랫말(O)
대중가요 대중가요 ‘대중’은 한자어 → 사이시옷 사용 ❌
 

📌 한자어 + 한자어 조합에서는 대부분 사이시옷을 쓰지 않습니다.

예시: 인사과, 유산소운동, 고속도로, 교육비 등


✅ 자주 헷갈리는 사이시옷 단어 TOP 10

올바른 표기의미
세숫대야 얼굴 씻을 때 쓰는 대야
찻잔 차를 마실 때 쓰는 잔
나뭇잎 나무 + 잎
잇몸 이 + 몸 (치아가 박힌 부분)
전셋집 전세로 사는 집
숫자 수 + 자 (수를 나타내는 글자)
김밥집 김밥 + 집 (사이시옷 없음)
냇물 내(하천) + 물
꽃잎 꽃 + 잎
빗물 비 + 물
 

✅ 암기 팁! 사이시옷 들어가는 말 외우는 방법

✔️ 우리말 + 우리말 조합
✔️ 첫 번째 말이 '자음으로 끝나지 않고' 발음 흐름상 ‘ㅅ’이 필요할 때
✔️ 의미상 하나의 물건, 개념을 이룰 때
예: 세숫대야, 찻잔, 전셋집


🔎 사이시옷 헷갈릴 때 확인하는 방법

  1. 사이시옷을 빼도 뜻이 통하면 사이시옷 가능성 높음
    • 나뭇잎 → 나무 + 잎
    • 전셋집 → 전세 + 집
  2. ‘의미가 복합적’이고 하나로 쓰이는 경우 삽입
    • 찻집, 고깃집, 곳간, 냇가 등
  3. 표준국어대사전 검색 활용하기!
    • 국립국어원 웹사이트 또는 네이버 국어사전 검색

 

실제 시험에 나온 사이시옷 오답 노트: 조갯살, 텃마당 등

- '선짓국': '선지'가 모음 'ㅣ'로 끝나고 '국'이 된소리로 시작함이러한 규칙을 잘 이해하고 있다면 시험에서 사이시옷 관련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사이시옷이 필요 없는 단어들의 예시입니다:이처럼 앞말이 자음으로 끝나거나, 뒷말이 된소리로 시작하지 않을 때는 사이시옷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올바른 맞춤법입니다.

위에 행 추가아래에 행 추가행 삭제왼쪽에 열 추가오른쪽에 열 추가열 삭제한자어올바른 표기비고셋방셋방예외적으로 사이시옷 사용숫자숫자예외적으로 사이시옷 사용횟수횟수예외적으로 사이시옷 사용곳간곳간예외적으로 사이시옷 사용찻간찻간예외적으로 사이시옷 사용툇간툇간예외적으로 사이시옷 사용실제 시험에서 틀린 예시실제 시험에서 많은 학생들이 틀린 사이시옷 관련 문제들을 살펴보면 패턴이 보입니다. 대부분 규칙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했거나, 예외 사항을 알지 못해서 발생한 오류입니다.마찬가지로 '전셋방'도 '전세'가 모음 'ㅔ'로 끝나고 '방'이 된소리로 시작하므로 사이시옷을 추가해야 하지만, '전세방'으로 오답을 적는 경우가 많았습니다.이러한 오답 사례를 통해 사이시옷 규칙을 더 명확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햇수'도 '햇'이 자음 'ㅅ'으로 끝나므로 사이시옷을 생략해야 하는데, '햇수'로 잘못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위에 행 추가아래에 행 추가행 삭제왼쪽에 열 추가오른쪽에 열 추가열 삭제잘못된 표기올바른 표기이유텟마당텃마당'텃'이 자음으로 끝나므로 사이시옷 불필요햇수햇수'햇'이 자음으로 끝나므로 사이시옷 불필요뒷날뒷날'뒤'(모음) + '날'(된소리 아님) → 사이시옷 불필요암기법과 팁사이시옷 규칙을 쉽게 기억하기 위한 암기법으로 '멍멍모예우'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각 글자는 다음을 의미합니다:- 된소리: 뒷말이 된소리로 시작해야 함

예외: 한자어 6개는 예외로 처리이 암기법을 활용하면 사이시옷 규칙을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어 실수 확률을 줄일 수 있습니다.

 

/

 

뒷일 → '뒤'(모음 ㅣ) + '일'(모음 ㅣ, 된소리 아님) → 사이시옷 불필요 → '뒷일' (옳음)

사이시옷 규칙을 실생활에 적용해보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몇 가지 연습 문제와 그 해설입니다:

국립국어원의 이러한 기준을 잘 이해하면 사이시옷 사용법에 대한 혼란을 줄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값', '길', '집', '빛' 뒤에 된소리가 오면 사이시옷을 넣습니다. '절댓값', '등굣길', '횟집'은 이 규칙에 따라 표기됩니다. 반면 한자어는 앞서 언급한 6개 단어만 예외적으로 사이시옷을 사용합니다.

국립국어원은 순우리말 합성어에만 사이시옷을 적용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우리 맞춤법의 공식적인 기준이므로 반드시 알아두어야 합니다.

국립국어원의 기준

위에 행 추가아래에 행 추가행 삭제왼쪽에 열 추가오른쪽에 열 추가열 삭제규칙설명예시모음앞말이 모음으로 끝나야 함조개+살→조갯살된소리뒷말이 된소리로 시작해야 함등교+길→등굣길ㄴ/ㅁ뒷말이 'ㄴ'이나 'ㅁ'으로 시작하면 'ㄴ' 추가바다+나라→바닷나라예외한자어 6개는 예외로 처리셋방, 숫자, 횟수, 곳간, 찻간, 툇간

- ㄴ/ㅁ: 뒷말이 'ㄴ'이나 'ㅁ'으로 시작하면 'ㄴ'을 추가

- 모음: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야 함

이러한 잘못된 표기 사례를 인지하고 있으면 일상 생활에서도 올바른 맞춤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뒷일'은 '뒤'가 모음 'ㅡ'로 끝나지만, '일'이 모음 'ㅣ'로 시작하므로(된소리가 아님) 사이시옷을 넣지 않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텃마당'은 '텃'이 이미 자음 'ㅅ'으로 끝나므로 추가로 사이시옷을 넣지 않아야 합니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텟마당'으로 잘못 표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도 사이시옷을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자주 틀리는 단어들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잘못된 표기 사례

위에 행 추가아래에 행 추가행 삭제왼쪽에 열 추가오른쪽에 열 추가열 삭제틀린 표기올바른 표기이유등교길등굣길'등교'(모음) + '길'(된소리) → 사이시옷 필요전세방전셋방'전세'(모음) + '방'(된소리) → 사이시옷 필요선지국선짓국'선지'(모음) + '국'(된소리) → 사이시옷 필요

예를 들어, '등굣길'은 '등교'가 모음 'ㅛ'로 끝나고 '길'이 된소리로 시작하므로 사이시옷을 넣어야 하는데, 많은 학생들이 '등교길'로 잘못 표기했습니다.

이 예외 규칙은 암기가 필요한 부분이므로, 시험 전에 반드시 확인해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 예외 규칙을 모르면 시험에서 실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 '셋방'은 한자어이지만 사이시옷을 넣어야 하는 반면, '집'도 한자어이므로 사이시옷을 생략해야 합니다.

사이시옷 사용법에는 한자어에 관한 예외 규칙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한자어에서는 사이시옷을 사용하지 않지만, 딱 6개 단어만 예외적으로 사이시옷을 받칩니다. 이 6개 단어는 '셋방', '숫자', '횟수', '곳간', '찻간', '툇간'입니다.

한자어에서의 예외

위에 행 추가아래에 행 추가행 삭제왼쪽에 열 추가오른쪽에 열 추가열 삭제단어앞말뒷말올바른 표기텃마당텃(자음 ㅅ)마당텃마당 (X텟마당)햇수햇(자음 ㅅ)수햇수 (X햇수)뒷일뒤(모음 ㅣ)일(모음 ㅣ)뒷일 (X뒷일)

마찬가지로 '햇수'도 '햇'이 자음 'ㅅ'으로 끝나므로 사이시옷을 생략해야 합니다. 이런 경우를 놓치면 시험에서 틀리기 쉽습니다.

반면에 앞말이 자음으로 끝나는 합성어에서는 사이시옷을 받치지 않습니다. 이 부분에서 많은 분들이 혼동을 겪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텃마당'은 '텃'이 이미 자음 'ㅅ'으로 끝나므로 추가로 사이시옷을 넣지 않습니다.

사이시옷이 필요 없는 경우

위에 행 추가아래에 행 추가행 삭제왼쪽에 열 추가오른쪽에 열 추가열 삭제단어앞말뒷말올바른 표기조갯살조개(모음 ㅐ)살(된소리 ㅅ)조갯살등굣길등교(모음 ㅛ)길(된소리 ㄱ)등굣길전셋방전세(모음 ㅔ)방(된소리 ㅂ)전셋방선짓국선지(모음 ㅣ)국(된소리 ㄱ)선짓국

지금까지 살펴본 사이시옷 사용법과 자주 틀리는 단어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사이시옷은 우리 맞춤법에서 중요한 부분이지만, 규칙을 제대로 이해하면 어렵지 않게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틀리기 쉬운 단어들을 미리 알아두고, 기본 원칙을 잘 기억하면 시험에서도 실수 없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입니다. 특히 '조갯살', '텃마당'과 같은 실제 시험에 나온 사례를 통해 배운 내용을 더욱 확실히 다져보세요.

반응형